🆘 응급상황에서 기억해야 할 3가지
- 패닉 금지! 침착하게 대처하기
- 기본 응급 처치 후 바로 동물병원 이동
- 강아지를 안정시키고 다치지 않도록 주의
🚨 상황별 응급처치
1️⃣ 이물질 삼킴 (식도나 위에 이물)
❗ 증상:
- 계속 헛구역질, 침 흘림
- 식사 거부, 배가 불러 보임
- 기운 없음
✅ 응급처치:
- 목구멍에 보이는 이물만 조심스럽게 제거
- 절대 억지로 토하게 하지 마세요 (날카로운 물건일 경우 위험!)
- 삼킨 시간, 음식/물건 종류 확인 후 병원으로
2️⃣ 출혈
❗ 증상:
- 상처에서 출혈, 피가 멈추지 않음
✅ 응급처치:
- 깨끗한 거즈나 천으로 압박 지혈 (5~10분)
- 다리에 상처가 있을 경우 심장보다 높게 올림
- 지혈 안 되면 병원으로 즉시 이동
3️⃣ 호흡 곤란 / 질식
❗ 증상:
- 입 벌리고 헐떡임, 파란 잇몸, 실신
✅ 응급처치:
- 목을 조이는 물건 (목줄, 옷) 제거
- 기도 막힘 의심 시 입 안 확인 후 이물 제거
- 무호흡이면 인공호흡 시도
👉 입을 닫고 코에 입 대고 3~5초마다 1번 불어넣기
4️⃣ 골절 / 탈구
❗ 증상:
- 한쪽 다리를 들고 걷지 않음
- 비명을 지르거나 움직이기 싫어함
✅ 응급처치:
- 절대 다리를 억지로 만지지 말 것
- 신문지나 박스로 부목 만들어 고정
- 이송 시 움직임 최소화하여 병원으로 이동
5️⃣ 화상 / 화학약품 접촉
❗ 증상:
- 붉은 피부, 물집, 통증 반응
✅ 응급처치:
- 깨끗한 찬물로 즉시 10분 이상 헹굼
- 절대 얼음 직접 접촉 X
- 연고 바르지 말고 병원으로 이동
6️⃣ 벌레/벌 쏘임
❗ 증상:
- 갑작스러운 부종, 통증, 피부 발적
- 심할 경우 호흡곤란, 구토
✅ 응급처치:
- 침이 보이면 핀셋 등으로 조심스럽게 제거
- 냉찜질로 부기 완화
- 얼굴, 목 주변 부종이면 즉시 병원 이동 (기도막힘 위험)
7️⃣ 열사병
❗ 증상:
- 숨 가쁨, 붉은 혀, 탈진, 구토, 혼수 상태
✅ 응급처치:
- 그늘이나 시원한 장소로 이동
- 미지근한 물로 몸 적시기
- 얼음물 금지!
- 의식이 있으면 찬물 조금씩 마시게 하기
- 즉시 병원으로 이동
8️⃣ 경련 / 발작
❗ 증상:
- 몸 떨림, 의식 소실, 눈 뒤집힘
✅ 응급처치:
- 절대 억지로 입 벌리지 말기 (물릴 수 있음)
- 주변 위험 물건 치우기
- 발작 멈춘 후 조용한 장소로 옮기기
- 발작 시간 기록 → 수의사에게 전달
9️⃣ 독성 물질 섭취
❗ 증상:
- 구토, 설사, 침 흘림, 무기력, 발작
✅ 응급처치:
- 무엇을 얼마나 먹었는지 확인
- 포장지나 남은 물질 가져가서 병원에 보여주기
- 억지로 토하게 하면 안 되는 경우도 있음 (부식성 물질 등)
→ 수의사 지시 따르기
🧰 기본 응급처치 키트 (반려견 전용)
항목 / 용도
거즈, 붕대, 반창고 | 출혈 시 압박 지혈 |
소독약 (반려동물용) | 상처 소독 |
지혈제 (옥시덴트 파우더) | 발톱출혈 등 지혈 |
핀셋, 가위 | 이물질 제거 |
멸균 생리식염수 | 눈/상처 세척 |
온도계 | 체온 확인 |
수건, 담요 | 고정 및 보온 |
응급연락처 메모 | 24시 병원, 독극물센터 등 |
📌 응급상황 시 보호자가 해야 할 것
- 상황을 빠르게 판단하고 기록 및 전달 준비
- 이송 중에도 지속적인 관찰
- 강아지를 안심시켜 불안 최소화
'강아지 건강과 식생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강아지 사료 종류별 특징과 선택 가이드 (23) | 2025.05.03 |
---|---|
좋은 동물병원 고르는 법 – 강아지 진료 체크포인트 (4) | 2025.05.01 |
강아지 알러지와 피부 트러블 (4) | 2025.04.29 |
강아지 발톱 자르는 법 (0) | 2025.04.28 |
강아지 귀 청소 방법 (7) | 2025.04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