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강아지 훈련과 행동 교정

강아지 물거나 깨무는 행동 교정

by 내사랑 몽실이 2025. 4. 23.
 

강아지가 물거나 깨무는 행동은 나이에 따라 의미가 조금씩 달라요. 특히 **강아지 시기(3~6개월)**엔 자연스러운 발달 과정의 일부일 수 있지만, 적절한 시기 교정이 매우 중요해요. 성견이 되어도 계속 물면 사회성과 안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어서요. 아래에 원인별로 교정 방법을 정리해볼게요.


🐾 1. 물거나 깨무는 이유 파악

  • 놀이 중 과한 흥분: 놀다 보면 점점 물기가 세짐.
  • 치아 발달(유치 → 영구치 교체): 이가 간지러워서 무는 경우.
  • 주의 끌기 / 호기심: 사람 손이나 발에 흥미를 느낌.
  • 지배욕/불안/스트레스: 통제하려는 시도일 수 있음 (특히 성견일 경우).

🎯 2. 교정 훈련 방법

“깨물면 재미없다” 훈련

  1. 강아지가 물면 즉시 “아야!”(크게, 놀란 톤) 하고 손을 빼기.
  2. 5~10초 동안 무반응 (노는 걸 멈추고 돌아서기 or 자리에서 일어남).
  3. 물지 않고 잘 노는 경우엔 칭찬+간식으로 보상. → 핵심: 물면 노는 게 끝난다는 걸 학습시켜야 해요.

물 대상을 ‘장난감’으로 바꾸기

  • 손, 발 대신 물 수 있는 장난감 제공.
  • 깨물려 할 때 즉시 장난감 쥐여주기 → 옳은 대상 학습.

‘놀이 중단’ 타임아웃

  • 계속 무는 경우엔 별도로 분리된 공간(울타리 등)으로 보내기.
  • 단, **벌주는 느낌 말고 ‘진정할 시간’**이라는 느낌으로.

“놓아” 훈련

  • 장난감 등을 물었을 때 "놓아", "아니야" 명령어 훈련.
  • 놓았을 때 바로 간식 → ‘명령어 = 보상’ 학습.

충분한 운동과 두뇌 자극

  • 무는 행동은 에너지 과다와도 관련 있어요.
  • 산책, 코 담기 놀이, 간식 퍼즐 등으로 스트레스 해소.

⚠️ 3. 하면 안 되는 것

  • 손을 휘두르거나 때리는 행위: 놀이나 공격으로 오해할 수 있음.
  • 물릴까 봐 과도하게 피하기: 오히려 물기가 더 강해짐.
  • 무는 걸 귀엽다고 웃거나 반응해주기: 이게 보상이 될 수 있음.

🧠 팁 & 참고

  • 이갈이 시기(약 4~6개월)엔 차가운 젖은 수건이나 이갈이 전용 장난감도 좋아요.
  • 가족 모두가 같은 방식으로 대응해야 혼란이 없어요.
  • 성견인데 공격성까지 동반된 무는 행동이면 전문가 상담 추천드려요.